"총량목표 내 관리돼…연말 모니터링 강화"
'빚투' 속 신용대출 증가전환…-1.6조→+0.9조
금감원, 이달 내 2금융권 사업자 대출 점검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에 비해 4조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제2금융권 대출과 신용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총량목표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연말께 주담대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모니터링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이달 내로 제2금융권 사업자대출 현장점검을 마무리하고 연내 대출 회수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 10월 가계대출 동향을 점검하고 총량관리 현황을 논의했다.
이에 따르면 10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했다. 전월(1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제2금융권 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고, 10월중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이 증가하면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3조5000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2조5000억원→2조1000억원)에서는 증가폭이 축소됐고, 제2금융권(1조1000억원→1조1000억원)에서는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1조6000억원 늘었다. 전월(-2조4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으며, 이는 신용대출 확대(-1조6000억원→9000억원)에 기인한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 증가했다. 전월(1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1조4000억원→1조1000억원)와 정책성대출(1조원→9000억원)은 증가폭이 축소됐다. 반면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5000억원→1조4000억원)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000억원 늘었다. 전월(-8000억원) 대비 증가세다.
보험(-3000억원→1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1조1000억원→2000억원)는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고, 상호금융권(1조원→1조1000억원)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저축은행(-5000억원→-2000억원)은 감소폭이 줄었다.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제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10월중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가계대출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중도금 대출은 대출약정 체결 당시부터 실행 일정이 결정됐던 물량이며, 은행권 일반 주담대 증가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했다.
신진창 처장은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량목표 범위 내에서 원활히 관리되고 있으나, 10.15대책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연말 주담대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통상 11월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인 만큼, 향후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신 처장은 또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은행권 사업자대출 용도외 유용 실태 점검시 위반 사례가 45건 이상 발생했는데, 제2금융권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있는 것 아닌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개별 금고의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하게 점검해 달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달 내로 제2금융권 현장점검을 마무리하고 연내 위반 차주에 대한 대출 회수 등 관련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중앙회 차원에서 지난 7월까지 취급된 새마을금고 사업자대출 2897건을 자체 점검해 용도외 유용 사례를 적발했으며, 8월 이후 취급 대출에 대해서도 규제 우회 여부를 철저히 점검·조치하도록 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