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세차익·집값 상승 기대 단지에 청약 수요 쏠림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청약시장 양극화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 강남과 과천시 등 선호 지역과 시세차익이 기대되는 일부 단지에는 수만 명이 몰렸지만, 수도권 외곽 지역과 지방 단지에서는 미달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청약 수요가 시세차익이나 집값 상승이 기대되는 일부 단지에만 몰리는 등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15개 단지의 1순위 청약에는 총 27만5766명이 몰렸다. 전국 1순위 청약자(62만여명)의 44.4%에 달하는 규모다. 정부의 6·27부동산대책 발표 이후에도 청약 열기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청약 경쟁률도 치솟았다. 서초구 반포동 일원에 들어서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이달 진행한 1순위 청약에 5만4631명이 몰리면서 237.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지난 9월 분양한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자 6만9467명,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0월) 신고된 분양·입주권 거래건수(13일 기준·해제 건 제외)는 총 1101건으로, 전년 동기간(2024년 1월~10월) 755건 대비 약 45.83% 늘어났다.
반면 청약 미달 단지도 나왔다. 지난 11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경기도 수원시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D3블록)은 534가구 모집(전체 697가구)에 603명이 신청했다. 가장 작은 면적대인 전용 75㎡만 1순위 마감하고, 나머지 5개 주택형에서 미달됐다.
또 경기 평택 브레인시티 비스타동원은 1577가구 모집에 52명만 접수해 경쟁률이 0.03대 1로, ▲경북 김천혁신도시 동일하이빌 파크레인(0.56대 1) ▲ 경기 파주 운정 아이파크 시티(0.58대 1) ▲전남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여수(0.77대 1) ▲부산 해링턴플레이스 명륜역(0.51대 1)도 미달됐다.
청약시장에서는 합리적인 분양가와 입지 등 경쟁력을 갖춘 단지에 수요가 집중되는 '청약 쏠림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고금리에 정부의 고강도 규제 대책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청약시장 내 '옥석 가리기'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권대중 한성대 일반대학원 경제·부동산학과 교수는 "고금리에 정부의 대출 규제로 부담이 커지면서 청약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청약시장에서 옥석 가리기가 심해지면서 합리적인 분양가와 시세차익, 입지, 브랜드 선호도 등에 따라 분양 성적이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